오늘의 공부

[월 배당 #3] SVOL - 파이어족으로 은퇴하기

becomindependent 2024. 12. 12. 14:46
반응형
SMALL

SVOL


간단 요약

  • 매월 넷 째주 배당금 지급
  • 2024년 12월 배당율 기준: 16.15%
  • 운용비용: 0.72%
  • vix 지수가 오르면 떨어진다
  • vix 지수가 내리면 오른다

[인사말]
요즘 금융시장을 보면 국내외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변동성이 쉽게 가라앉지 않는 모습입니다. 특히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주식 시장은 경기 지표와 금리,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리스크 등 다양한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단순히 주가 상승에만 기대기보다는, 변동성 자체를 활용하거나 일정한 배당 수익, 이자 수익을 노리는 전략도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변동성을 활용한 ETF 중 하나로, 비교적 독특한 전략을 추구하는 **SVOL(Simplify Volatility Premium ETF)**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SVOL 시세

[SVOL 기본 개요]

  • 종목명: Simplify Volatility Premium ETF (티커: SVOL)
  • 운용사: Simplify Asset Management
  • 투자전략: 주로 VIX(변동성 지수) 관련 파생상품 포지션을 통해 변동성 프리미엄을 수취하고, 일정 수준의 인컴(income)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

SVOL은 단순히 주식 또는 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변동성 지수(VIX) 선물에 대한 숏(Short) 포지션을 활용하여 ‘변동성 프리미엄’을 수익화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시장이 장기적으로 변동성에 대해 과도한 공포 프리미엄을 반영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지요. 이를 통해 일반 주식 시장 상승에 베팅하지 않더라도, 변동성 자체에서 꾸준한 인컴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SVOL 요약

[왜 변동성을 숏(Short)하는가?]
VIX 지수는 ‘공포 지수’라고 불리며, 시장 참여자들의 향후 30일간 S&P 500 변동성에 대한 기대치를 반영합니다. 일반적으로 변동성은 올라갈 때 급등하는 특징이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VIX는 대체로 특정 범위에 머무르며 장기 평균 회귀(mean reversion) 성향을 가집니다. 변동성 자체가 무한정 상승하는 경우는 드물고, 시장이 패닉 상태를 벗어나면 결국 VIX는 안정적인 수준으로 회귀하게 됩니다.

SVOL은 바로 이 점에 주목합니다. 시장이 공포에 질려 VIX를 높게 평가하는 순간 숏 포지션을 취하고, 이후 공포가 가라앉으며 VIX가 하락할 때 이익을 거두는 식입니다. 물론 이 전략은 단기적으로 큰 변동성 충격이 오면 상당한 손실을 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변동성을 숏하는 전략은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다고 많은 전문가는 평가합니다. SVOL은 이 전략을 ETF 형태로 간편하게 담아낸 것이죠.

 

SVOL 과거 배당금

[SVOL의 인컴 전략 및 배당 매력]
SVOL의 또 다른 매력은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인컴 형태의 배당입니다. 변동성 매도 포지션을 구축함으로써 발생하는 프리미엄을 투자자들에게 배당으로 돌려주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인컴형 ETF는 현금흐름 확보를 선호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최근 금리 상승 등으로 인컴 자산들에 대한 관심이 커진 상황에서, 변동성 프리미엄을 활용한 새로운 유형의 현금흐름 창출 수단으로 SVOL을 고려해볼 만합니다.

특히, 주식 시장이 큰 방향성을 가지지 못하고 박스권에서 등락을 거듭할 때, 단순히 주가 상승을 기대하기보다는 시장의 밸런스가 무너질 때마다 과도하게 올라가는 VIX를 활용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물론 주식 시장이 급등락을 반복할 경우 SVOL 역시 배당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일정 수준의 변동성 프리미엄을 꾸준히 거둬들이는 운용 방식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배당 매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SVOL 배당금 히스토리

[포트폴리오 내 SVOL 활용 전략]
많은 투자자들이 ETF를 활용할 때는 주식형 ETF, 채권형 ETF, 원자재 ETF 등을 적절히 섞어 시장 전체의 변화를 흡수하는 전략을 취합니다. 하지만 변동성 숏 전략 기반의 ETF는 대부분의 전통적 자산과 상관관계가 낮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체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조정하거나 다른 자산과의 상관관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채권 혼합 포트폴리오에 SVOL과 같은 변동성 숏 전략 ETF를 소량 편입하면, 시장이 극도로 공포에 휩싸였다가 진정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이익 실현이 가능합니다. 이는 단순히 주가 상승만 기다리는 전략과 차별화되는 부분이며, 인컴 수익까지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현금흐름이 필요한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및 리스크 관리]
하지만 모든 투자에는 리스크가 따릅니다. 변동성 숏 전략은 시장이 정상적으로 안정화될 것을 가정하는데, 만약 시장이 극한의 공포 상태에 장기간 머무르거나, VIX가 단기간에 극심하게 폭등하는 환경이 지속된다면 SVOL 역시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변동성은 주식시장 하락기나 블랙스완 이벤트 시급격히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시나리오에 대비한 투자금액 조절 및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VIX 선물 롤오버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구조적 괴리 등으로 인해 기대한 만큼의 수익을 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SVOL에 투자할 때는 이 ETF가 어떤 방식으로 변동성 프리미엄을 포착하는지, 해당 전략이 특정 시나리오에서는 어떤 손익 구조를 가지는지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

[정리 및 마무리]
SVOL ETF는 변동성 지수를 활용하여 장기적으로 프리미엄을 수확하고, 이로부터 인컴 형태의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제공하는 독특한 전략형 ETF입니다. 안정적인 배당수익과 저변동성 포트폴리오 구축을 원하는 투자자, 혹은 기존 주식·채권 위주의 자산 배분 전략에 변화를 주고 싶은 분들에게 흥미로운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변동성 숏 전략은 시장 환경에 따른 변동 폭이 크고, 단기적인 예측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중장기적 관점에서 변동성은 결국 평균 회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면 시장 방향성에 덜 의존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SVOL을 포트폴리오에 편입해보는 것을 고려한다면, 충분한 사전 공부와 소규모 테스트 투자 등을 통해 전략의 특성을 파악하는 과정을 거치시길 권장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ETF와 투자전략을 소개하여 독자 여러분들의 자산관리 여정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