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미국시장시황] 11월 둘째주 - 탑다운 방식으로 풀어보는 주가 예측 및 전망
안녕하세요
즐겁게 투자하고 계신가요?
이제부터 바쁘더라도 매주 미국 시황을 말씀드리고 추후 투자 방향성에 대한 의견을 전달하려고 매주 월요일에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가능하면요)
제가 주로 보는 경제 지표와 뉴스 및 제가 사용하는 법칙을 차근차근 설명드릴예정입니다. 제가 정답이아니니 투자에 참고만 해주세요.
이번 편은 Top - Down 방식 (하향식 투자)로 풀어 보려 합니다.
일반적으로 거시경제부터 산업을 분석하고 기업을 분석하는 방식입니다.
모든 투자의 선택은 본인의 몫이라는걸 명확하게 전달드립니다.
- 매일 확인하는 지수 (다우존스선물, S&P 500 선물, 나스닥 선물)
정확한 예측치는 아니지만 하루에 투자 심리를 파악 할수 있음으로 참고용으로 많이 봅니다.
투자는 어느정도 심리 싸움이기때문에, 매도 와 매수 포지션을 잡을때 약간의 힌트를 볼수 있는 지표가 선물지표 입니다.
우선 11월 10일 화요일 오후 1시 지표를 봐볼께요
용어 참조
US 30 = 다운존스 선물지수
US 500 = S&P 500 선물 선물지수
US Tech 100 = 나스닥 선물지수
- 현재 모든 지수들이 하락 국면에 있네요. 나스닥은 미국선거 불확실성이 끝나면서 많이 올라서 조정을 받는듯 하구요, 백신의 기대감 때문에 기술주들이 추후 영업이익에 타격을 입을듯한 투자자의 심리때문에 매도가 나오는듯 합니다.
- Earning insight from FACTSET
FACTSET이라는 곳에서 매주 금요일에 발간하는 리포트입니다.
- 향후 S&P 500에 대해서 EPS 전망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 즉 S&P 500에 기업들이 향후에 돈을 더 벌지 아니면 덜 벌지 알수 있는 지표입니다.
- 아직 까지는 Foward EPS가 떨어지지 않는걸보면 기업실적은 양호 한듯 합니다.
- FED (미국연준) 에서 발표하는 경제지표
- FED 금리 추이
이 지표는 매일 볼필요 없습니다. FED가 금리 발표 할때만 보면 됩니다
미국연준은 현재 금리를 계속 동결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유동성이 풍부하고 자산가격은 지속적으로 우상향 할수 있습니다.
- 미국 부도 차트
이 지표는 쉽게 회사들이 부도가 날지 않날지 볼수 있는 지표 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아시다시피 코로나 때 가파르게 올라가고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우하향하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즉, 부도의 위험은 낮아지고 있고, 회사나 실물경제는 조금씩 나아지고 있는 모습니다.
- 실업율
- 미국의 실업률을 보여주는 차트입니다.
- 코로나 이후로 점차 나아지고 있습니다. 즉 경제활동도 다시 살아난다고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 일을 하면 그에대한 월급을 받고 소비를 하고 이 싸이클이 정상적으로 나타낸다는 의미입니다.
- 미국은 소비국가 이기때문에 실업율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 FED가 양적완화를 하는지
- 말 그대로 FED가 양적완화를 지속적으로 하는지 보여주는 차트 입니다.
- 현재 연준은 계속 돈을 풀고 있습니다. 즉, 채권을 계속 사드리고 있는 것이죠.
- 자산시장에는 큰 도움이 됩니다.
- 즉, 유동성 장세라는 의미입니다.
- 물가율
- 연준 인플레이션 파이터라고도 알려있습니다.
- 물가를 안정화하는 기관이기도 합니다.
- 급격한 인플레이션은 자산시장에 큰 충격을 주기때문에 이것을 컨트롤 하려고 합니다.
- 현재 FED는 FOMC에서 앞서 채택한 평균 물가안정 목표제를 채택 하고 있기때문에 급격한 물가율에 대해서는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또한, 오는 2023년까지 초저금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다만, 물가율이 조금씩 올라가고 있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 장단기 금리차이
- 미국 장단기 금리차 = 장기금리(10년물 국채 수익률) – 단기금리(2년물 국채 수익률)
- 장단기 금리차이를 설명드리자면 조금 복잡하여 간단하게 우선 설명드립니다.
- 정상적인 Yield Curve 이면 단기 이자율은 낮고 장기 이자율은 높습니다.
- 이유: 단기로 돈을 빌리면 빌려주는 입장에서는 큰 리스크가 되지 않습니다. 바로 갚을수 있는 신용을 믿기 때문입니다. 다만, 미래를 예측 할수 없고 장기적으로 이 사람 혹은 회사가 갚지 못한다고 판단 하기에 장기 금리는 단기보다 금리가 높을수 밖에 없습니다.
[정상적인 Yield Curve]
[현재 Yield Curve]
- 아직 까지는 양호한 상태로 보입니다.
- 다만 1.5프로이상 정도 차이가 난다면 그때부터는 조심해야됩니다.
- 전체 연체율 과 부동산 연체율
- 이번 코로나로 인해서 실업자들이 대거 속출하게되면, 월세로 살아가는 미국인들이 월세를 못내거나 대출 이자를 못낼수있는 상황이 오면 경제상황이 악화되겠죠?
[전체 대출 연체율]
[부동산 대출 연체율]
- 현재까지 전체 대출 연체율은 높지 않습니다.
- 다만, 현재 부동산 대출 연체율은 점차 올라가는 형태를 보입니다.
- 이부분은 뉴스 기사와 함께 참조 해드리겠습니다.
종합적인 의견 - 나스닥 지수 기준
단기투자 - SELL
이유: 나스닥 단기 조정, 수익화 매물,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 화이자 백신
중장기 투자 - HOLD
이유: 뚜렷한 경제 위험성 없음, 또한 주식시장에 공급할만한 딱히 좋은 뉴스도 없음. 다만 기술주에 편중하기보다는 리밸런싱을 통한 Contact 주들 담아보는것도 나쁘지 않음.
감사합니다.